블로그 관리가 쉽지만은 않은것 같다.
처음엔 1일1포스팅을 목표로 시작했는데,
1주1포스팅도 어려워지고 있다..
이제는 손에서 놓지만 말자.. 로 목표를 하향 조정했다. ㅠ
간만의 위스키 포스팅이다.
사진부터 보자.

먼저 발렌타인에서 나온 싱글몰트 3종중 가장 인기모델(?) 글렌버기이다.
엔트리 12년의 바로 윗급이다.
설날 노징 글라스 행사때 잔과 함께 10만원정도 주고 구매했던걸로 기억한다.

다음은 글렌피딕 15년이다. 마찬가지로 엔트리 12년 바로윗급이고, 얘도 명절 글라스 증정 행사때 10만원에 구매했던걸로 기억한다.
위스키 마시려고 보다가 비슷한 가격, 싱글몰트, 15년숙성이라는 공통점이있어 비교 시음을 하기로 결정했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글렌피딕은 이미 좀 마신 상태이고, 발렌타인은 새로 뚜따를 했다.

그래서 찍은 의미없는 뚜껑사진.

먼저 색상비교이다.
잘 안보이긴 한데, 글렌피딕잔엔 글렌피딕이 발렌타인 잔엔 발렌타인이 들었다.
색깔은 얼핏보면 거의 비슷해보이고, 자세히보면 발렌타인이 조금더 진하고 약간 붉은빛이 감돈다.
색상은 발렌타인 승리!

발렌타인 병에 적힌 설명이다. 프루티(?) 하고 꿀같은 달콤함이 특징이란다.
마셔본 결과 꿀같은 달콤함 까진 모르겠고, 과일향이 느껴진다. 약간 화사하고 가벼운 향으로 느꼈다.
잘려서 잘 보이진 않는데 왼쪽에 아메리칸 오크라고 되어있다.
위스키 맛을 아직은 잘 모르지만 아메리칸 오크는 확실히 특유의 특징이 있다. 뭐라 말로 설명하긴 어려운데,
내착각일수도 있겠으나 마셔보면 미국 나무가 머리속에 떠오른다 ^^; 약간 매콤함, 흔히들 하는 말로 아메리칸 오크 특유의 스파이시함이 있다고 생각한다.

버번, 쉐리 오크에 숙성시켰다고 써있다.
찾아보니 버번배럴은 이미 버번을 숙성시킨 오크인것 같고, 발렌타인의 '아메리칸 오크'는 새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했다.
내추측따위가 의미가 있을진 모르지만 이미 특정 위스키를 숙성시킨 오크라면 '버번OR셰리 오크' 처럼 술 이름이 앞에 붙는것 같고, 안붙어있으면 내세울게 없으니 나무의 산지가 붙는것같다.
여튼 확실한건 아메리칸 오크통이 저렴하다고 한다.
단가로 따져보면 발렌타인은 아메리칸 오크만 사용했고, 글렌피딕은 버번과 쉐리를 모두 사용했다.
이거만보면 발렌타인이 같은 가격에 원가가 더 저렴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든다.
근데 맛을 보면 내입엔 발렌타인이 더 맛있다.
입맛이 싼건지 아니면 단순히 취향인건지 모르겠지만, 내느낌에 글렌피딕은
좋게말하면 부드럽지만 나쁘게 말하면 좀 밍밍하다. 난 강한 스파이시를 가진 맛을 별로 선호하지 않는데, 글렌피딕은 마셨을때 스파이시는 발렌타인보다 강하면서 그이외의 맛은 크게 느껴지지 않아 특징이 없는 술로 느껴진다.
아주 나쁘다는건 아니고 발렌타인과 비교하면 내기준에선 발렌타인 글렌버기 승이다.
다음엔 패자부활전 글렌모린지 오리지널 VS 글렌피딕을 해봐야겠다.
글렌피딕은 18년부터라는데 18년이 궁금해진다.
#결론
같은 15년 기준 글렌버기 > 글렌피딕
#누적 스코어
1. 글렌모린지 오리지널 > 글렌모린지 시그넷 (아래링크 참조)
https://record-of-moment.tistory.com/26
글렌모린지 시그넷 vs 글렌모린지 오리지널 10y
제목 그대로이다. 글렌모린지 시그넷과 오리지널 비교 시음기이다. 먼저 나는 위린이다. 겨우 20종류 남짓되는 위스키를 마셔본 정도이고, 그것도 한두번접해본것까지 모두 포함해서이다. 전문
record-of-moment.tistory.com
2. 발렌타인 글렌버기 15 > 글렌피딕 15
'취미생활을 해보자 > 위스키를 마셔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오타이(귀주모태주) (0) | 2022.03.14 |
---|---|
글렌모린지 시그넷 vs 글렌모린지 오리지널 10y (0) | 2022.03.06 |
커클랜드 시그니쳐 꼬냑 XO (feat. 딸기) (0) | 2022.02.20 |